가능성이 높다/낮다 영작

● 원문 : https://www.youtube.com/watch?v=fMCSKorNE5g

가능성이 높다. 낮다라고 표현할때 항상 possibility란 단어만 사용하다가
구글링해서 찾아 보았다. 자연스러운 표현이 있는지..

원어민과는 서로 표현하는 방법이 다르다.
원어민들도 가능성이 높다 낮다라고 직접 표현할때는 possibility을 사용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표현처럼 일상적인 대화에서 사용하지 않는다.
그래서 원어민이 잘 사용하는 단어들을 중심으로 우리가 말하는 가능성이 높고
낮음을 표현할 필요가 있다.

1) probably(가능성이 조금 높은 정도..)
 즉, 원어민들은 "아마"란 의미로 가능성이 높고 낮음을 표현한다.
 예1) 그는 더 이상 날 사랑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 그는 아마 날 이상 사랑하지 않을 거야.
    → he probably does not love me any longer.
 예2) 우리는 이틀정도 일찍 떠날 가능성이 많아.
    → We probably leave a couple of days early.

2) There is a good chance that ~
  좋은 기회가 있다란 말이 가능성이 많다... 잘 연결되지는 않지만...
  예1) 이번 주말에 비가 올 가능성이 많아.
    → There is a good chance that it's going to rain this weekend.
  예2) 조심하지 않으면 길을 잃어 버릴 가능성이 높아(많아.)
    → If we are not careful, There is a good chance that we're going to get lost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왜 낮은 음을 화음으로 연주하면 불편하게 들릴까?

C코드의 경우에는 도,미,솔이라는 3가지 음으로 구성된다. 피아노나 기타로 연주하면 전혀 불편함 없이 아름답게 들린다. 그런데 더블베이스(베이스기타)로 도,미,솔을 누르고 연주하면 뭔가 불협화음처럼 들린다. (피아노에서도 낮은 옥타브에서 C코드를 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