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의 기준으로 헌금 순위를 매기면...

두 렙돈 과부의 비유에서 과부는 전재산을 바쳤다고 말한다.

두 렙돈 과부의 비유에서 과부는 전재산을 바쳤다고 말한다.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두렙돈의 가치는 하루 노동자 일꾼의 1/64분의 일이다.
하루 노동자 품삯을 10만원 정도로 보면 1500원 정도일 것이다.
과부는 재산이 없으므로 수중에 있는 돈을 헌금하면 그게 전재산이다.
1조 재산을 가진 사람이 10억을 헌금했다면 1/1000에 불과(?)하다.
무서운(?) 것이 일년 소득기준이 아니라 전재산이 기준이 된다.
게임의 규칙이 재산을 쌓으면 쌓을 수록 불리해진다.
정말 이 기준으로 헌금규칙을 정해버리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라는 발칙한 상상을 해 본다.
헌금 금액을 봉투에 적는 것이 아니라 전재산에서 몇 %을 하는지를 적는다면...
연말에 헌금의 금액이 아니라 전재산의 몇 %를 했는지를 알려준다면...
만일 그렇게 천국의 정산법이 정해진다면..

이제는 예수님의 눈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내가 부자라면 더 더욱 자랑할 수가 없다. 재산이 없는자라면 일년동안 무려 100,000%의 헌금을 했는데..
나는 기껏해야 1%의 정산결과가 나올테니..
예수님의 의도는 '내가 이렇게까지 나온다면 어떻게 할래?' 라고 질문을 던지는 것이 아닐까?
"제발 쫌"이라고 외치는 소리가 들린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

왜 낮은 음을 화음으로 연주하면 불편하게 들릴까?

C코드의 경우에는 도,미,솔이라는 3가지 음으로 구성된다. 피아노나 기타로 연주하면 전혀 불편함 없이 아름답게 들린다. 그런데 더블베이스(베이스기타)로 도,미,솔을 누르고 연주하면 뭔가 불협화음처럼 들린다. (피아노에서도 낮은 옥타브에서 C코드를 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