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누가 부를 얻게 될까?
당연히 금융에 대해서 허수놀음을 하는 자가 부를 가지게 될 확률이 높다.
두번째는 누구일까?
생산수단을 가지는 자가 부를 얻게 된다.
초기 자본주의 생산수단은 생산설비를 말할 것이다.
생산설비를 가지고 물건을 찍어내고 그 물건을 팔아서 돈을 버는 구조이다.
따라서, 이 시기에는 생산자와 소비자가 뚜렷이 구분되어 있다.
시대가 흘러 정보화 시대를 거치면서 생산수단은 바뀌게 된다.
정보, 즉 흔히 말하는 컨텐츠를 생산하는 자가 생산자이고 그것을 이용하는 자가 소비자가 되는 것이다. 동일하게 생산활동을 하는 자는 돈을 벌고 소비자는 돈을 지불하는 구조이다.
이 시대에는 많은 사람들이 소비자이면서 동시에 생산자이다.
산업화 시대에는 생산자가 될려면 생산설비의 초기 투자금이 많이 들어가므로 진압장벽이 꽤 높다. 하지만 지금은 아니다. 약간의 지식만 있으면 누구나 생산자가 된다. 물론 성공한 생산자이냐 아니냐는 별개의 문제지만..
나는 얼마나 많은 정보를 생산해 내고 있는지를 돌아보게 된다.
거의 전무하다.
산업화시대의 생산수단을 가질려고만 하고 정작 정보화시대에서는 소비만 한다.
시대가 변한 것을 느끼면서도 정작 시대에 맞지 않는 옷을 입은 내 자신.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왜 낮은 음을 화음으로 연주하면 불편하게 들릴까?
C코드의 경우에는 도,미,솔이라는 3가지 음으로 구성된다. 피아노나 기타로 연주하면 전혀 불편함 없이 아름답게 들린다. 그런데 더블베이스(베이스기타)로 도,미,솔을 누르고 연주하면 뭔가 불협화음처럼 들린다. (피아노에서도 낮은 옥타브에서 C코드를 치면...

-
우연히 뉴스를 보다가 재밌는 사진을 발견했다. 왕립학회에서 과학에 관한 사진을 게시하였는데 표면장력에 관한 사진이 올라와 있다. 마치 아인슈타인이 제시했던 공간의 휘어짐을 그대로 잘 표현한 것 같다. 그냥 격자무늬가 일반적인 공...
-
C코드의 경우에는 도,미,솔이라는 3가지 음으로 구성된다. 피아노나 기타로 연주하면 전혀 불편함 없이 아름답게 들린다. 그런데 더블베이스(베이스기타)로 도,미,솔을 누르고 연주하면 뭔가 불협화음처럼 들린다. (피아노에서도 낮은 옥타브에서 C코드를 치면...
-
● 11/30일 영작 외주업체 에 일을 맡기다 . → Assign a job to subcontractor .(outsourcing company) ※ 모든 것이 생각나지 않았음. 외주업체와 일이란 표현과.. 일을 맡기는 표현도...
댓글 없음:
댓글 쓰기